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개인은 사회적 환경 내에서 만나는 타인과의 끊임없는 담론 속에 있다고 하며 그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을 만든다고 봅니다. 비록 개인은 자신의 사회 환경 내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깊은 영향을 받지만 내러티브치료는 반결정론적입니다. 개인이 만들어진 현실에 대해 이해하고 그것의 근본을 해체하며 새로운 스토리를 재저술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입니다. 내러티브치료의 관심은 내담자가 무엇을 얻고 싶은지가 아니라 어디에 있었는지이기 때문에 내러티브치료는 다른 어떤 접근법보다 낙관적으로 보입니다. 사실 내러티브 상담자들은 반객관주의자로 취급받습니다. 이들은 현실을 설명하는 이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보면 내러티브치료에서는 좋은 소설을 읽듯이 내담자의 이야기를 읽거나 듣고 그들의 지배적인 이야기를 이해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1. 사회구성주의

    사회구성주의는 1960년대에 유행하였으며 언어와 담론이 정신 개념을 형성하고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는 것들의 근간이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진실들은 특정한 권력을 가지고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면서 사회 여러 기관의 높은 존중으로 뒷받침됩니다. 우리를 우리에게 만드는 내재된 무엇인가가 있다고 주장하는 서구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많은 상담 이론에 의해 이러한 신념을 널리 알려졌습니다. 인본주의자들은 내재한 자아실현 경향성과 내부 통제를 갖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철학을 제시하였습니다. 정신역동 이론가들은 원초아, 자아, 초자아 같은 정신 내부의 기능이 우리가 누구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신념은 상담 분야에서 힘을 가졌고 진리처럼 널리 알려지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사회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진실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그들은 지식이란 언제나 변화하는 것,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환경의 기능, 언어에 의해 문화와 개인에게 전달된 것으로 봅니다. 그래서 이 개념은 개인이 배경으로 하는 역사 문화적인 맥락의 결과로써 힘을 지니며 단단한 사실이나 진실에 기반한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2. 내러티브

    내러티브는 이야기입니다. 내러티브치료에서의 내러티브는 우리가 누구인지를 정의하고 우리는 일생 동안 우리의 사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우리의 삶을 포용하는 수많은 내러티브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우리가 살아감에 따라 우리의 이야기도 변화합니다. 내러티브 상담자들은 우리의 삶이 다층적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우리가 누구인지를 정의하는 수많은 이야기가 있고 가끔 그 이야기들은 서로 모순되기도 합니다. 어떤 내러티브는 내담자의 인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야기이고 반면에 어떤 내러티브는 내담자를 강하게 만드는 도움이 되는 이야기입니다. 한 사람의 여러 가지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과 서로 모순되거나 다른 이야기를 부정하는 이야기를 구별해 내는 것은 둘 다 내러티브 상담자들의 중요한 작업입니다. 

     

     

    3. 지배적이고 문제로 가득 찬 이야기

    비록 우리가 다층적 이야기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의 삶에는 우리의 정체성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지배적 이야기가 깊게 스며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야기는 생활, 문화, 공동체, 사회에서 만나는 중요한 이들에게서 전달됩니다. 이 이야기는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미묘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맡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그것은 너무 명확해서 우리가 그것을 알아보려고만 하면 쉽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많은 이야기가 커다란 공동체나 사회 안에서 그것을 대표하는 가치이거나 표준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우리 중 다수는 우리가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비슷한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그 이야기에서 제시되는 표준적인 방식과 다른 길을 갈 경우 가끔은 우리가 무엇인가 잘못되었다고 믿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자는 이렇게 해야 해나 남자는 다르게 행동해야 해 같은 말을 듣습니다. 우리가 그렇게 행동해야 한다고 들은 방식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때는 무엇인가 잘못된 취급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여성이 자기주장이 강하면 강하다는 소리를 듣지만 자기주장이 강한 남성은 유능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온순한 성품의 남성은 동성애라고 하지만 비슷하게 행동하는 여성은 섬세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반응형